본문 바로가기

Customer Center

고객센터

'6·27 대출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상승 거래 비중은 줄고, 하락 거래 비중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 1:1상담
1:1상담

'6·27 대출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상승 거래 비중은 줄고, 하락 거래 비중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dodo 작성일25-08-11 11:14

본문

'6·27 대출규제' 이후 수도권 아파트 시장에서 상승 거래 비중은 줄고, 하락 거래 비중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에서는 세종에서 하락 거래 비중이 늘었다.
 <a href="https://hiilllstaet.quv.kr" title="남사 힐스테이트">남사 힐스테이트</a>

11일 직방에 따르면 국토교통부 매매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7월 전국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4.4%로 6월(46.5%) 대비 2.1%p 하락했다. 같은 기간 하락 거래 비중은 38.4%에서 41.8%로 3.4%p 증가해 대조를 이뤘다.

세부적으로 보면 7월 수도권 아파트 상승 거래 비중은 45.0%로 6월(48.1%) 대비 3.1%p 줄었다. 반면 하락 거래 비중은 35.1%에서 39.2%로 4.1%p 증가했다. 서울은 상승 거래 비중이 53.2%에서 51.1%로 감소하고, 하락 거래 비중은 30.4%에서 34.0%로 증가했다. 경기 역시 상승 거래는 46.0%에서 43.2%로 줄었고, 하락 거래는 37.1%에서 40.6%로 늘어나며 수도권 전반에서 뚜렷한 약세 흐름이 감지된다.

지방은 전반적으로 뚜렷한 변화 없이 유지됐다. 2025년 7월 지방 아파트의 상승 거래 비중은 44.0%, 하락 거래 비중은 43.5%로 6월(상승 44.1%, 하락 43.1%) 대비 미미한 수준의 변동에 그쳤다.

단 세종시는 지방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하락 전환 폭이 크게 나타났다. 7월 세종시의 상승 거래 비중은 41.7%로 6월(48.9%) 대비 7.2%p 감소했고, 하락 거래 비중은 같은 기간 35.4%에서 45.2%로 9.9%p 증가했다.

직방 관계자는 "서울·경기 등 핵심 지역에서는 투자 수요는 물론 실수요층까지 매수 부담이 커지고 관망세로 전환되는 분위기가 나타나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단 공급에 대한 불안 심리가 여전히 자리 잡고 있다는 점에서 관망세가 이어지더라도 실제 가격 조정 폭은 제한적일 수 있다는 시각도 여전하다"고 덧붙였다.
<a href="https://hiilllstaet.quv.kr" target="_blank" rel="noopener=">용인 남사 힐스테이트</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