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 16.5%’ 도시에 국민 92% 거주…개발행위는 3년째 ‘뚝’
페이지 정보
작성자 dodo 작성일25-07-23 18:15관련링크
본문
지난해 국민 10명 중 9명은 전체 국토 면적의 6분의 1 크기인 도시에 모여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지난해 기준 도시계획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기준 도시지역 면적은 1만7639㎢로 전체 국토 면적(용도지역 기준) 10만6567㎢의 16.5% 수준이다.
<a href="https://modelhouse2024.quv.kr" title="경기광주역 민간임대">경기광주역 민간임대</a>
도시지역 인구는 4715만 명으로 주민등록인구 5122만명 중 92.1%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1960년까지만 해도 39.7%였다.<a href="https://modelhouse2024.quv.kr" target="_blank" rel="noopener=">경기광주 민간임대</a> 이후 도시화 현상에 따라 2000년 88.3%로 가파르게 증가한 뒤 2005년(90.1%) 이후 90%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도시지역 인구 비율은 2023년(92.1%)과 2년 연속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국토의 토지이용을 나타나는 용도지역은 간척사업 등으로 5년 전인 2019년에 견줘 356㎢ 늘어났다.
용도지역은 도시지역(16.5%), 관리지역(25.7%), 농림지역(46.2%), 자연환경보전지역(11.1%), 미지정지역(0.5%)로 구분돼 있다. 미지정은 공유수면 매립 등 간척사업이 끝난 후 용도지역을 결정하지 않은 지역이다.
난개발 방지를 위한 성장관리계획구역은 지난해 기준 1만1975곳, 4259㎢로 집계됐다.
앞서 2023년까지 899㎢ 수준이었는데 지난해 1월부터 계획관리지역에 공장을 짓기 위해서는 성장관리계획을 의무화하면서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개발행위허가는 18만6080건으로 집계됐다. 개발행위는 건축물을 짓는 것을 비롯해 토지형질 변경, 공작물 설치, 토지분할, 물건적치 등을 뜻한다. 앞서 2021년 27만5211건을 기록한 후 3년 연속 감소세다.
장기미집행 도시·군계획시설은 943㎢로 10년 전에 비해 63.9% 감소했다.
해제 가이드라인이 제정된 후 필요치 않은 시설이 꾸준히 해제됐기 때문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도로나 공원, 종합의료시설 등 국민이 일상에서 접하는 도시·군계획시설은 36만6000여개, 총 7196㎢로 집계됐다.
<a href="https://modelhouse2024.quv.kr" target="_blank" rel="noopener=">경기광주역 임대아파트</a>
23일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지난해 기준 도시계획현황 자료를 보면, 지난해 기준 도시지역 면적은 1만7639㎢로 전체 국토 면적(용도지역 기준) 10만6567㎢의 16.5% 수준이다.
<a href="https://modelhouse2024.quv.kr" title="경기광주역 민간임대">경기광주역 민간임대</a>
도시지역 인구는 4715만 명으로 주민등록인구 5122만명 중 92.1%가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도시지역 인구비율은 1960년까지만 해도 39.7%였다.<a href="https://modelhouse2024.quv.kr" target="_blank" rel="noopener=">경기광주 민간임대</a> 이후 도시화 현상에 따라 2000년 88.3%로 가파르게 증가한 뒤 2005년(90.1%) 이후 90%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도시지역 인구 비율은 2023년(92.1%)과 2년 연속 동일한 수준을 보였다.
국토의 토지이용을 나타나는 용도지역은 간척사업 등으로 5년 전인 2019년에 견줘 356㎢ 늘어났다.
용도지역은 도시지역(16.5%), 관리지역(25.7%), 농림지역(46.2%), 자연환경보전지역(11.1%), 미지정지역(0.5%)로 구분돼 있다. 미지정은 공유수면 매립 등 간척사업이 끝난 후 용도지역을 결정하지 않은 지역이다.
난개발 방지를 위한 성장관리계획구역은 지난해 기준 1만1975곳, 4259㎢로 집계됐다.
앞서 2023년까지 899㎢ 수준이었는데 지난해 1월부터 계획관리지역에 공장을 짓기 위해서는 성장관리계획을 의무화하면서 큰 폭으로 늘었다.
지난해 개발행위허가는 18만6080건으로 집계됐다. 개발행위는 건축물을 짓는 것을 비롯해 토지형질 변경, 공작물 설치, 토지분할, 물건적치 등을 뜻한다. 앞서 2021년 27만5211건을 기록한 후 3년 연속 감소세다.
장기미집행 도시·군계획시설은 943㎢로 10년 전에 비해 63.9% 감소했다.
해제 가이드라인이 제정된 후 필요치 않은 시설이 꾸준히 해제됐기 때문이라고 국토부는 설명했다.
도로나 공원, 종합의료시설 등 국민이 일상에서 접하는 도시·군계획시설은 36만6000여개, 총 7196㎢로 집계됐다.
<a href="https://modelhouse2024.quv.kr" target="_blank" rel="noopener=">경기광주역 임대아파트</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