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가 생기면서 경기광주 역동이 새롭게 바뀔것으로 기대되면서 ‘지하 도로 건설’ 호재를 갖춘 지역이 부동산 …
페이지 정보
작성자 dodo 작성일25-07-01 18:50관련링크
본문
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 가 생기면서 경기광주 역동이 새롭게 바뀔것으로 기대되면서 ‘지하 도로 건설’ 호재를 갖춘 지역이 부동산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다.
만성 정체 해소로 업무지구 접근성이 좋아지는 데다 기존 지상 도로를 줄이고 상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서다. 지역 단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서초(양재~올림픽대로 간 지하도로), 강남 접근성이 크게 좋아지는 노원(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등이 수혜 지역으로 거론된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양재~올림픽대로 간 지하도로’와 ‘우면~용산 지하도로’ 프로젝트가 민자적격성 조사 절차를 밟고 있다. 양재~올림픽대로 간 지하도로는 서초구 양재동(경부간선도로)에서 잠원동(올림픽대로)까지 6.55㎞ 구간에 일방향 2차선의 지하도로를 신설하는 프로젝트다. 총사업비는 2022년 기준 9404억원이다. 우면~용산 지하도로는 서초구 서초동(우면산터널)에서 용산구 서빙고동(녹사평대로)까지 5.4㎞를 잇는다. 왕복 4차선 건설에 사업비 7821억원이 투입된다.
두 사업 모두 2029년 상반기 착공하는 게 목표다. 경부간선도로, 반포대로 등 강남권 만성 정체 구간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a href="http://xn--220bo7bfx1aeho.kr" target="_blank" rel="noopener=">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a> 국토교통부가 주축이 된 경부고속도로 양재~기흥(경기 용인) 구간 지하화와 맞물려 시너지가 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하도로 완공 이후 상부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교통 흐름 개선이 사업 목적인 만큼 기존 지상 도로를 아예 없애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횡단보도 등이 설치된 일반도로로 전환하기만 해도 자동차 전용도로로 단절된 지역이 연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양재동과 반포동 등 일대가 수혜지로 거론된다.
국토부는 ‘양재~고양 지하고속도로’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2027년 착공이 목표다. 이 사업의 진행 경과에 따라 강변북로 일부 구간(한남대교 북단 서쪽)의 일반도로 전환도 검토될 수 있다. 한남대교 북단 동쪽에서 오는 차량 상당수를 양재~고양 지하고속도로가 흡수하면 기존 강변북로 이동량이 줄어들 수 있어서다.
노원과 중랑, 동대문 등 동북권 주민은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에 기대가 크다. 작년 10월 첫 삽을 떠 2029년 준공할 예정이다. 성북구 석관동부터 강남구 청담동까지 왕복 4차선(10.4㎞)의 대심도 지하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대우건설이 제안한 민자 사업이다. 서울시는 월계IC부터 대치IC까지 통행 시간이 50분대에서 10분대로 단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노원과 도봉을 넘어 경기 의정부까지 온기가 확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 동부간선도로에 수변공원이 조성되면 인근 주민의 주거환경이 더 좋아질 수 있다.
<a href="http://xn--220bo7bfx1aeho.kr" title="해링턴스퀘어리버파크">해링턴스퀘어리버파크</a>
이수~과천 복합터널 사업도 조만간 착공을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동작구와 경기 과천을 잇는 지하 왕복 4차선과 빗물저류터널 등을 짓는 프로젝트다. 과천대로와 동작대로는 극심한 교통 정체로 악명 높은 곳이다. 이 사업이 완공되면 과천 주민의 출퇴근길이 한결 편리해질 전망이다.
새검정구파발터널(종로 부암동~은평 불광동), 평창터널(종로 신영동~성북 성북동) 등 사업도 추진 중이다. 서울에서 서부간선지하도로를 비롯해 신월여의지하도로, 용마터널 등 6개 민자 지하도로 사업은 완료됐다. 표찬 싸부원 대표는 “지하철은 호재가 역세권을 중심으로 ‘점’ 단위로 퍼진다면 도로는 선을 따라 더 폭넓게 확산하는 경향이 있다”며 “민자도로 사업은 환승이 가능한 철도에 비해 요금체계가 단순하고 통행량을 예측하기도 편해 민간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쉽다”고 설명했다.
<a href="http://xn--220bo7bfx1aeho.kr" target="_blank" rel="noopener=">경기광주 해링턴스퀘어</a>
만성 정체 해소로 업무지구 접근성이 좋아지는 데다 기존 지상 도로를 줄이고 상부 공간을 활용할 수 있어서다. 지역 단절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서초(양재~올림픽대로 간 지하도로), 강남 접근성이 크게 좋아지는 노원(동부간선도로 지하화) 등이 수혜 지역으로 거론된다.
1일 서울시에 따르면 ‘양재~올림픽대로 간 지하도로’와 ‘우면~용산 지하도로’ 프로젝트가 민자적격성 조사 절차를 밟고 있다. 양재~올림픽대로 간 지하도로는 서초구 양재동(경부간선도로)에서 잠원동(올림픽대로)까지 6.55㎞ 구간에 일방향 2차선의 지하도로를 신설하는 프로젝트다. 총사업비는 2022년 기준 9404억원이다. 우면~용산 지하도로는 서초구 서초동(우면산터널)에서 용산구 서빙고동(녹사평대로)까지 5.4㎞를 잇는다. 왕복 4차선 건설에 사업비 7821억원이 투입된다.
두 사업 모두 2029년 상반기 착공하는 게 목표다. 경부간선도로, 반포대로 등 강남권 만성 정체 구간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전망된다.<a href="http://xn--220bo7bfx1aeho.kr" target="_blank" rel="noopener=">해링턴스퀘어 리버파크</a> 국토교통부가 주축이 된 경부고속도로 양재~기흥(경기 용인) 구간 지하화와 맞물려 시너지가 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하도로 완공 이후 상부 공간을 어떻게 활용할지는 결정되지 않았다. 업계 관계자는 “교통 흐름 개선이 사업 목적인 만큼 기존 지상 도로를 아예 없애긴 쉽지 않을 것”이라며 “횡단보도 등이 설치된 일반도로로 전환하기만 해도 자동차 전용도로로 단절된 지역이 연결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양재동과 반포동 등 일대가 수혜지로 거론된다.
국토부는 ‘양재~고양 지하고속도로’ 프로젝트도 추진하고 있다. 2027년 착공이 목표다. 이 사업의 진행 경과에 따라 강변북로 일부 구간(한남대교 북단 서쪽)의 일반도로 전환도 검토될 수 있다. 한남대교 북단 동쪽에서 오는 차량 상당수를 양재~고양 지하고속도로가 흡수하면 기존 강변북로 이동량이 줄어들 수 있어서다.
노원과 중랑, 동대문 등 동북권 주민은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사업에 기대가 크다. 작년 10월 첫 삽을 떠 2029년 준공할 예정이다. 성북구 석관동부터 강남구 청담동까지 왕복 4차선(10.4㎞)의 대심도 지하도로를 건설하는 사업이다. 대우건설이 제안한 민자 사업이다. 서울시는 월계IC부터 대치IC까지 통행 시간이 50분대에서 10분대로 단축될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노원과 도봉을 넘어 경기 의정부까지 온기가 확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기존 동부간선도로에 수변공원이 조성되면 인근 주민의 주거환경이 더 좋아질 수 있다.
<a href="http://xn--220bo7bfx1aeho.kr" title="해링턴스퀘어리버파크">해링턴스퀘어리버파크</a>
이수~과천 복합터널 사업도 조만간 착공을 앞둔 것으로 알려졌다. 동작구와 경기 과천을 잇는 지하 왕복 4차선과 빗물저류터널 등을 짓는 프로젝트다. 과천대로와 동작대로는 극심한 교통 정체로 악명 높은 곳이다. 이 사업이 완공되면 과천 주민의 출퇴근길이 한결 편리해질 전망이다.
새검정구파발터널(종로 부암동~은평 불광동), 평창터널(종로 신영동~성북 성북동) 등 사업도 추진 중이다. 서울에서 서부간선지하도로를 비롯해 신월여의지하도로, 용마터널 등 6개 민자 지하도로 사업은 완료됐다. 표찬 싸부원 대표는 “지하철은 호재가 역세권을 중심으로 ‘점’ 단위로 퍼진다면 도로는 선을 따라 더 폭넓게 확산하는 경향이 있다”며 “민자도로 사업은 환승이 가능한 철도에 비해 요금체계가 단순하고 통행량을 예측하기도 편해 민간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쉽다”고 설명했다.
<a href="http://xn--220bo7bfx1aeho.kr" target="_blank" rel="noopener=">경기광주 해링턴스퀘어</a>